본문 바로가기

종합소득세 신고2

사업자 폐업 후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해도 될까? 사업을 정리하고 나면 속이 시원한 동시에“이제 세금 신고는 끝났겠지?” 하는 분들 많으시죠? 하지만 폐업했다고 해서 세금 신고 의무가 사라지지 않습니다.오히려 ‘마지막 정리’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. 폐업 후에도 종합소득세 신고는 필수! 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무조건 해야 합니다. 신고 대상 기간2024년 중 폐업했다면 ➡️ 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2025년 초 폐업해도 ➡️ 2026년 5월에 다시 신고 필요즉, 폐업 여부와 관계없이 소득이 발생한 연도의 다음 해 5월에는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 신고하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요? 1. 무신고 가산세기본 20%, 고의적 미신고 시 최대 40% 부과! 2. 납부 지연 이자2024년 기준 연 9.2%, 시간이 갈수록 계속 증가 3. 세.. 2025. 5. 4.
해외주식·미국주식 양도소득세 계산법 총정리|절세 전략까지 한눈에! 요즘 미국주식 투자하는 분들 정말 많아졌죠.하지만 수익이 난 만큼 중요한 게 있습니다.바로 양도소득세입니다. 특히 해외주식은 국내주식과 세금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,정확한 계산 방법과 신고 절차, 절세 전략을 미리 알아두는 게 중요합니다.해외주식, 미국주식 양도소득세란? 양도소득세는 자산을 팔아 이익이 발생했을 때 내는 세금입니다.해외주식도 예외 없이, 매도 차익에 대해 과세 대상이 됩니다. 핵심 포인트국내 주식: 일반 투자자는 양도세 면제 (대주주만 과세)해외 주식: 모든 투자자에게 양도소득세 과세 적용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기본 공식양도차익 = 매도금액 - (매수금액 + 수수료 등 부대비용)과세 대상 = 양도차익 - 기본공제 250만 원납부세액 = 과세 대상 × 22% (소득세 20% + 지방소득세 2.. 2025. 4. 17.